유득공-유우춘전

이 포스팅은 2025대비 EBS 연계교재 수능특강에 수록된 고전소설, <유우춘전>에 대한 핵심정리, 이해와 감상을 제공합니다.
유우춘전

 

 

 

Core Arrangement
  • 이 작품은 인격과 학문을 겸비한 도학자 이춘풍이 두 기생 홍도화와 유지연의 계획에 빠져 훼절을 한 후 세속에 몰입한 생활을 하다가 다시 세속을 벗어나 두 기생과 더불어 신선으로서의 삶을 살아간다는 이야기로 작품은 끝을 맺는다. 
  • 갈래 : 한문 소설, 단편 소설
  • 배경 : 시간-조선후기, 공간-한양
  •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 성격 : 의지적, 비판적, 전기적
  • 제재 : 유우춘의 행적과 가치관
  • 주제 : 예술적 가치를 알아주지 않는 현실에 대한 비판
  • 줄거리 : 
    서기공은 음악에 정통하고 손님을 좋아했다. 내가 해금을 켜자 그는 내 실력이 비렁뱅이 해금이라 나무라면서 유우춘과 호궁기의 해금을 배우라고 일러 주었다.
    나는 금대 거사의 안내로 십자교 밑에 있는 초가집으로 유우춘을 찾아가 그의 해금 솜씨를 듣고, 비렁뱅이 해금을 면할 수 있는 방도를 물었다. 그러자 유우춘은 밥을 빌어먹는 데에는 연주 기량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자신의 재주도 연로한 어머니를 모시는 데 쓰이고 있다고 말한다. 물론 자신의 거문고는 온 나라 사람들이 다 알지만, 명성을 듣고 아는 것이지 해금 소리로 아는 자는 없다고 말하며 오직 호궁기만이 해금 소리를 알아줄 뿐이라고 탄식했다.
    그러면서 기술이 진보될수록 그것을 아는 사람들이 적어지는 세태를 꼬집고, 알아주는 이 없는 기술을 연마하는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것을 권한다.
    유우춘은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해금 연주를 그만두고, 더 이상 나를 찾아오지 않았다.
  • 특징 : ① 기예(技藝)가 천시되던 조선 후기에 해금으로 이름을 떨치던 유우춘의 행적을 그림.
    ② 예술가로서의 삶과 생활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유우춘의 내적 갈등을 제시하여 주제를 부각함.

    ③ 전(傳)의 형식을 취했지만, 인물의 일대기보다는 인물의 개성적 면모에 초점을 맞춤.
    ④ 서술자인 ‘나’와 주인공의 대화 형식으로 전개함.
  • 작가 : 유득공 –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주장한 북학파 실학자였으며 문학과 역사에 뛰어나 <발해고>를 지어 발해사를 체계화하였다. 주요 작품에는 ‘경도잡지’, ‘영재집’, ‘고운당필기’, ‘ 사군지’ 등이 있음.
Understanding & Appreciate
  • 유득공의 문집‘영재집(冷齋集)’에 실려 있는 작품으로, 전(傳)의 형식을 통해 기예가 천시되던 조선 후기에 해금의 명수로 이름을 떨치던 유우춘의 일생을 그리고 있다. 예술적 가치와 상업적 가치의 불일치 속에서 고뇌하는 조선 후기 예능인의 갈등이 잘 나타나 있으며, 서술자와 중심인물의 대화를 통해 당대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또한 대부분의 고전 소설이 전지적 작가 시점을 보이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이 작품은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작품 속의 서술자인‘나’가 중심인물인 유우춘에 대해 관찰한 사실을 서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 유우춘의 내면적 갈등
    예술가로서의 갈등 자신의 해금 소리를 제대로 알아듣는 이를 위해 연주하고 싶음.
    생활인으로서의 갈등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자신의 예술성에 걸맞은 보수를 받고자 함.
Reading material
  • ‘해금’의 기능 : – ‘나’가 유우춘과 교류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 – 유우춘으로 하여금 예술관을 말하게 하여 작품의 주제 의식을 구현
  • <유우춘전>의 독특한 서술 시점 : 대부분의 고전 소설이 전지적 작가 시점을 보이고 있는 데 비해, 이 작품은 1인칭 관찰자 시점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이 작품이 1인칭 관찰자 시점을 취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글쓴이인‘나(유득공)’가 당시의 유명한 악공인 유우춘의 생애를 전기적으로 서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 작품은 다분히 수필적인 요소도 지니고 있지만, 구성 요소의 측면에서 소설의 조건에 부합하고 있어 한문 소설로 분류하고 있다.
Workbook
Intertextuality
  • <송경운전> ☜ EBS(2024, 2025대비) 수능특강 p.160~p.163
  • 최치원, <촉규화>
블로그 제작 초기 단계이므로, 지속적으로 수정 및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국어 관련 질문이 있으신 경우 댓글에 남겨 주시면, 의견을 반영해 자료를 제작해 보겠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