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미상-조웅전

이 포스팅은 2025대비 EBS 연계교재 수능특강에 수록된 고전소설, <조웅전>에 대한 핵심정리, 이해와 감상을 제공합니다.
조웅전


Core Arrangement
  • 이 작품은 국문으로 쓰여진 영웅 소설이자 군담 소설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이 어려움을 겪고 조력자를 만나 힘을 키우는 고행담과, 장 소저와 혼인 약속을 하는 결연담, 위왕을 도와 서번을 격파하고 태자를 구출하는 무용담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웅전>은 영웅의 서사 구조를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군담 소설의 주인공들이 대부분 천상계 인물로서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하여 위기를 극복하는 데 반해, 이 작품의 주인공은 자신의 힘보다는 초인의 조력으로 운명을 개척해 간다. 또한 이 작품은 부모의 허락 없는 혼전 성사(婚前性事)를 다루고 있어 전통적 유교 윤리에 어긋나는 애정담의 모습을 보인다.
  • 갈래 : 국문 소설, 영웅 소설, 군담 소설
  • 배경 : 중국 송나라 시대, 송나라와 주변 중국 대륙
  • 성격 : 영웅적, 전기적, 일대기적
  • 제재 : 조웅의 영웅적 삶
  • 주제 :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과 자유연애 사상
  • 특징 : ① 영웅적 무용담과 결연담을 결합해 구성함.
    ② 한시를 삽입하여 인물의 상황이나 의중을 드러냄.
    ③ 유교 사상, 불교 사상, 도교 사상을 바탕으로 함.
Plot
  • 중국 송(宋)나라 문제(文帝) 때 공신이자 좌승상(左丞相)인 조정인은 간신인 우승상 이두병(李斗炳)의 참소를 입고 음독 자살한다. 문제는 조 승상의 죽음을 애석히 여겨 조 승상의 아들 조웅을 궁중으로 불러들이고 이두병은 후환이 두려워 조웅을 죽이려고 한다. 조웅의 어머니는 이두병이 조웅을 죽이려고 한다는 꿈을 꾸고 조웅을 데리고 피신한다. 문제가 세상을 떠나고 태자가 등극하자 이두병이 어린 황제를 외딴 섬으로 축출하고 제위에 오른다. 조웅 모자는 월결 대사를 만나 산사로 들어가고, 조웅은 15세가 되자 출세를 결심하고 찰관 도사를 만나 병법과 무술을 배운다. 조웅이 모친을 만나러 가는 도중에 위국공 장 진사의 집에 머물다가 장 진사의 딸 장 소저와 백년가약을 맺는다. 조웅은 서번이 위국을 침공하자 위국으로 가서 서번군을 격파하고, 태자를 구출하기 위해 남해 절도로 가 태자가 있는 곳에 도달하여 마침 이두병이 사자를 보내어 태자를 죽이려는 것을 물리치고 태자를 구출한다. 서번왕이 조웅이 태자를 모시고 오는 것을 보고 죽이려고 하였으나 실패하고 도리어 조웅에게 곤욕을 당한다. 조웅은 다시 서번왕의 항복을 받고 중국으로 와서 영웅·명장을 규합하여 이두병이 임명한 지방 관리들을 차례차례로 처치하면서 위국으로 들어가 위왕과 연합하여 황성을 쳐서 이두병을 베고, 태자를 등극시킨다.
Understanding & Appreciate
  • <조웅전>에서 꿈은 초월적 세계의 뜻을 주인공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꿈속 경험을 통해 주인공은 자신에게 부여된 천명과 현실 세계에서의 위기, 자신에 대한 초월적 세계의 비호 등을 알게 된다. 이러한 초월적 세계의 뜻에 대해 주인공은 확신하지 못하지만, 전달자와 구체적 증거물을 통해 초월적 세계의 뜻을 확인하게 된다. 주인공은 이와 같이 초월적 세계의 뜻을 확인하고 실천하여 영웅적 면모를 드러낸다.
  • 이 작품은 국문으로 쓰여진 영웅 소설이며, 군담 소설(軍談小說)이다. 작품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째는 조웅과 이두병의 대립이고, 둘째는 조웅과 번왕의 대립이며, 셋째는 조웅과 이두병의 재대립이다. 이 작품은 다른 군담 소설과 비교할 때 몇 가지 독특한 점이 있다. 이 작품에는 대체로 명산 대천에 기도를 드림으로써 아들을 얻게 되는 기자(祈子) 치성(致誠) 이야기가 없고, 주인공이 천상의 고귀한 신분을 가졌으나 특별한 인연으로 지상에 하강한다는 식의 천인(天人) 하강(下降) 모티프가 나오지 않는다. 또, 장 소저와 혼전에 동침한다는 것도 이색적이다. 이러한 특색은 이 소설이 대중들의 기호에 맞게 통속화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파악된다.
Workbook
Intertextuality
  • <유충렬전>
블로그 제작 초기 단계이므로, 지속적으로 수정 및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국어 관련 질문이 있으신 경우 댓글에 남겨 주시면, 의견을 반영해 자료를 제작해 보겠습니다.

Leave a Comment